찬 바람이 불어오는 겨울이 오면서 서민들은 난방요금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늘고 있습니다. 전기요금이나 가스요금이 지속적으로 인상되었던 터라 자칫 잘 못하면 요금 폭탄을 맞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절약을 한다면 캐시백을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 한국전력에서는 주택용(가정용) 전기를 사용하는 고객에 대해 전기요금을 줄일 경우 에너지캐시백을 주고 있습니다.
1. 한전 에너지캐시백 신청대상은?
신청대상은 주택용(가정용) 전기를 사용하는 고객입니다. 개별세대와 공동주택 관리주체가 대상이됩니다. 공동주택 관리주체는 전기요금을 관리비에 포함하여 납부하는 아파트를 말합니다.
▶신청 제외자는?
개별세대 중 전기요금을 관리비에 포함해 납부하는 아파트 중 ▲사용 전력량 정보가 미제출된 고객, ▲ 신규 전기사용 등으로 직전 1개년 동월분 사용 전력량 정보가 없는 고객, ▲ 한전이 시행하는 타 에너지 절약 프로그램 참여 고객은 신청을 할 수 없습니다. 공동주택 관리주체 중 신규 전기사용 등으로 ▲ 직전 1개월 동월분 사용 전력량 정보가 없는 아파트, ▲한전이 시행하는 타 에너지 절약 프로그램 참여 아파트는 신청에서 제외됩니다.
2. 캐시백 적용시기와 산정방법은?
캐시백 적용시기는 '신청일을 포함하는 월분부터 캐시백 산정'을 합니다. 예로 검침일이 15일인 고객의 10월분 전기요금 산정기간은 9월 15일~10월 14일까지이며, 해당 기간에 신청 시 10월 분 전기사용량부터 캐시백이 산정됩니다.
▶산정방법 알아보기
절감량은 과거 2개년 동일기간 평균 사용량에서 절감 활동기간의 사용량을 뺀 값입니다. 절감률은 해당기간 절감량에서 과거 2개년 동일기간 평균 사용량을 나눈비율을 의미합니다.
3. 캐시백 지급기준 알아보기
기본캐시백은 최소절감률 3%와 동일지역 참여자 평균절감률 이상을 달성한 경우, 절감량 1kWh(킬로와트시)당 30원을 지급합니다. 단 절감률 30% 한도로 지급합니다. 차등캐시백은 동일지역 참여자의 평균절감률과 상관없이 절감률 5% 이상 달성 시 30%를 한도로하여 절감률 구간별로 1kWh당 30~70원을 차등 지급합니다.
4. 캐시백 신청 방법과 지급방법
▶캐시백 신청방법은?
캐시백 신청은 주소지에 주민 등록된 구성원이 온라인 신청을 하면 됩니다. 네이버 등의 포털에서 '한전 에너지캐시백'을 검색하여 아래 사이트로 들어가셔서 에너지캐시백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캐시백은 어떻게 지급받나?
매월 산정된 캐시백은 다음달 전기요금 청구 시 반영됩니다. 단 캐시백 산정기간 중 신청자의 주소지가 변경된 경우 캐시백 지급이 제외된다는 점은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5. 마치며
에너지캐시백을 받으려면 절감 목표를 잘 세우고 팁도 있어야 합니다. 탄소포인트제나 에코마일리지와 같이 타 기관에서 운영하는 사업은 중복 참여도 가능합니다. 에너지 절감이 쉽지는 않지만 신청을 하여 한번 도전해 보는 것도 의미가 클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지난 10월 2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회재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전기요금이 많이 나온 8월에 30만 6,000 가구만 활용한 것으로 나타나 전체 주택용 전기 사용 가구(1586만 5650 가구)의 1.9%에 불과했다고 밝혔습니다. 더군다나 이전에는 전기요금에서 3.7%를 따로 분리하여 적립하는 전력산업기반기금 일부를 활용했지만, 배정해 놓은 기금이 소진되자 전기요금 산정 항목 중 하나인 기후환경요금에 에너지 캐시백 지원금을 포함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올해 25억 6000만 원이던 에너지 캐시백 지원 예산은 내년에 한 푼도 예산에 반영되지 않았다고 강조했습니다.
에너지 가격의 급등으로 전기요금이나 가스요금 등에 대한 지원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때문에 에너지 절감에 중점을 두고 있는 에너지 캐시백 제도의 경우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을 늘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돈 되는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기적 필터 교체가 필요없는 공기청정기가 있다고? (0) | 2024.03.29 |
---|---|
2024 설명절 한우 할인 정보 알아두기 (1) | 2024.01.30 |
가스요금과 전기요금 줄여주는 겨울 난방기구, 10만원대 전기히터는? (0) | 2023.11.11 |
삼성전자 스마트싱스 특징과 앱, 제품 살펴보기 (0) | 2023.10.12 |
LG전자 가전제품 이브닝서비스와 삼성전자 서비스센터 운영시간 확대 내용 알아보기 (0) | 2023.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