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양이 사료3

강아지와 고양이 등 반려동물 시장 규모와 전망, 제약사의 관련 사업 진출 현황 3월 23일은 국제 강아지의 날이었습니다. 반려견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반려견 입양을 촉진하기 위해 미국에서 제정한 기념일로 세계적인 날이 되었습니다. 그만큼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늘어나고, 산업도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기념일은 물론 각종 캠페인과 이벤트가 등장하고,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시장규모와 전망, 동물의약품 등 제약업체의 관련 사업 진출현황은 어떤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시장 규모와 전망 ◈ 시장 규모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년 1조 9,000억 원 → 2022년 4조 1,739억 원 → 2027년 6조 원 전망 * 2022년 기준 펫푸드 시장 규모 : (농림축산식품부) 국내 1.5조 원, 전 세계 156조 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연구.. 2023. 3. 29.
고양이에게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은? 고양이를 처음 키우거나 분양받을 예정이면 어떤 음식을 줘야 하고, 어떤 음식을 주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 많습니다. 물론 사료 중심으로 준다면 아무 문제없지만, 때로는 간식도 줘야 하니깐 말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음식이 좋고, 어떤 음식이 나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좋은 음식은? 사람과 같이 몸에 좋은 음식은 영양분이 충분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음식들이 좋습니다. 물론 냥이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고, 반려동물시장의 확대로 많은 종류의 음식들이 나와있긴 하나, 통상적으로 좋은 음식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닭가슴살, 생선과 새우, 드라이 푸드(건조사료), 웻푸드(습식사료), 그라스, 캣닢 등 냥이는 보통 육류를 좋아합니다. 닭가슴살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함량이 적어 건강에 좋습니다. 생선류.. 2023. 3. 19.
2023년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 개선방안 내용은? 농식품부에서는 3월 10일 길고양이 중성화 효과성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해 관련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고 밝혔습니다. 길고양이의 개체수 조절이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인 것 같습니다. 농식품부가 발표한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 실적과 개선방안에 대한 주요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 실적 ▶2018~2022년까지 357,896마리 중성화 진행 ▶7대 특‧광역시(세종 제외) 길고양이 개체수(㎢당 마릿수) : 2020년 273마리-> 2022년 233마리로 감소. 자묘 비율 2020년 29.7%-> 2022년 19.6%로 감소 농식품부에서는 2018년부터 지자체 길고양이 중성화 수술 지원사업을 통해 2022년(잠정)까지 총 357,896마리의 중성화를 시행했다고.. 2023. 3. 14.
반응형